권장이수체계
권장이수체계
Case1) 기초선택 2과목을 모두 수강하는 경우(예, 대부분의 인문사회계)
- 1-1 : 기초선택 2과목 ►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2과목
- 1-2 : 기초선택 2과목 ►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1과목 & 응용 1과목
Case2) 기초선택 2과목중 1과목만 수강하는 경우(예, DS-연관 domain 경영/경제/심리/보건/생명 등)
- 2-1 : 기초선택 1과목 ►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2과목 ► 응용 1과목
- 2-2 : 기초선택 1과목 ►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1과목 ► 고급 1과목 & 응용 1과목
- 2-3 : 기초선택 1과목 ►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1과목 ► 고급 2과목
Case3) 기초선택 2과목을 모두 수강하지 않는 경우(예, 대부분의 이공계 + 통계)
- 3-1 :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2과목 ► 고급 2과목
- 3-2 :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1과목 ► 고급 3과목
- 3-3 : 전공필수 1과목 ► 기본 1과목 ► 고급 2과목 & 응용 1과목
이수과목
Core Curriculum |
|
기초선택 |
- IDS511 데이터과학을 위한 수학과 프로그래밍(일부학과 학점 미인정) - IDS512 데이터과학을 위한 확률과 통계 (일부학과 학점 미인정) |
필 수 |
- IDS 601 데이터과학원론(STA531 데이터애널리틱스로 대체 가능) |
기 본 |
- IDS508 기계학습의원리와응용(일반공통) - IDS502 딥러닝의원리와응용(일반공통) - IDS505 DS/AI프로그래밍(일반공통) - IDS602 응용데이터분석방법론(전공) - STA532 빅데이터개론(통계학과 Cross-Listing) |
Domain Curriculum |
|||
고급(Advanced) |
학과명 |
학수번호 |
교과목명 |
통계학과 |
STA533 |
데이터과학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|
|
STA631 |
고급데이터베이스 |
||
STA617 |
고급통계적 머신러닝 |
||
STA618 |
고급통계적 딥러닝 |
||
STA619 |
고급통계적 강화학습 |
||
STA720 |
데이터과학 |
||
STA620 |
인과추론 |
||
STA731 |
데이터애날리틱스특수연구1 |
||
STA732 |
데이터애날리틱스특수연구2 |
Domain Curriculum |
|||
응용(Domain) |
학과명 |
학수번호 |
교과목명 |
정치외교학과 |
POL654 |
계량적정치분석 |
|
POL828 |
계량적정치분석II |
||
POL692 |
인과추론과 국제정치연구 |
||
경제학과 |
ECO512 |
경제시계열분석 |
|
ECO518 |
계량경제분석 |
||
ECO707 |
미시계량경제학 |
||
ECO709 |
계량경제학의 특수논제 |
||
ECO777 |
페널데이타계량경제학 |
||
ECO787 |
고급시계열분석 |
||
ECO788 |
경제예측과 기계학습입문 |
||
ECO789 |
고급미시계량경제학 |
||
ECO790 |
준모수및 모수 계량경제학 |
||
ECO792 |
고급패널데이타 계량경제학 |
||
ECO793 |
처리효과와 정책평가분석 |
||
ECO794 |
경제빅테이터의 분석 연구 |
||
행정학과 |
PUB516 |
다변량행정통계 |
|
PUB518 |
정책분석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|
||
PUB720 |
정책평가 |
||
보건과학과 |
HEL958 |
STATA를 이용한 다변량분석 |
|
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|
HCS524 |
보건서비스연구를위한연구방법론 |